백드랍의 정보창고
코인 에어드랍, 블록체인 용어, 레이어에 대한 이해, 거래소 작업

Optimistic Rollup과 ZK-Rollup 차이점, 쉽게 정리해드립니다

 요즘 디파이, NFT, 웹3 쪽에서 레이어 2(Layer 2) 이야기 많이 들리죠.

특히 L2 중에서도
Optimistic Rollup과 ZK-Rollup은 가장 많이 비교되는 기술이에요.

이 둘은 겉보기엔 비슷하지만,
작동 방식도 다르고, 보안·속도·비용 등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.
오늘은 이 두 가지 롤업을 쉽게 비교해드릴게요.
이해만 하면 어떤 상황에서 어떤 걸 쓰면 좋을지 바로 감 잡으실 수 있어요.




먼저, 롤업(Rollup)이란?

롤업은 간단히 말해,
여러 개의 거래를 한 번에 묶어서(Layer 2에서 처리하고)
그 요약본만 이더리움 메인넷에 기록하는 방식입니다.

→ 이렇게 하면 가스비는 낮아지고, 속도는 빨라지죠.


1. Optimistic Rollup이란?

  • 의심 없이 먼저 처리하고, 이의 제기 기간을 기다리는 구조

  • 이름 그대로 “낙관적으로(Optimistic)” 거래가 문제 없다고 가정하고 먼저 진행함

특징

  • 빠르게 거래 처리 가능

  • 누군가 잘못된 거래가 있으면 ‘프루드 프루프(Fraud Proof)’로 신고 가능

  • 출금에는 7일 정도 지연 발생 (이의 제기 기간 때문)

대표 플랫폼

  • Arbitrum

  • Optimism


2. ZK-Rollup이란?

  • 각 거래에 대해 암호학적으로 '증명(Zero-Knowledge Proof)'을 만들어 제출

  • “이 거래가 맞습니다”라는 증명을 동시에 보냅니다

특징

  • 매우 높은 보안성

  • 거래가 확정되는 데 시간이 거의 안 걸림

  • 출금 지연 없음

  • 하지만 기술적으로 구현이 더 복잡하고 비용도 조금 더 듦

대표 플랫폼

  • zkSync Era

  • StarkNet

  • Polygon zkEVM


3. 두 기술의 주요 차이점 비교

항목Optimistic RollupZK-Rollup
검증 방식낙관적 처리 + 이의 제기암호학적 증명 제출
거래 속도빠름 (최종 확정은 느림)빠름 + 확정도 빠름
보안 수준높음 (이의 제기 필요)매우 높음 (수학적으로 증명됨)
출금 시간느림 (최대 7일 지연)빠름 (수분 내 완료 가능)
기술 복잡성상대적으로 간단구현 난이도 높음
대표 예시Arbitrum, OptimismzkSync, StarkNet

어떤 걸 써야 할까요?

초보자나 일반적인 디파이 사용자라면
→ Optimistic Rollup 기반인 Arbitrum, Optimism부터 시작하기 좋아요.
인터페이스도 친숙하고, 디앱도 다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.

더 빠른 확정성과 높은 보안이 필요하거나, 기술적으로 민감한 앱을 쓴다면
→ ZK-Rollup 기반인 zkSync, StarkNet도 좋은 선택입니다.


마무리하며

Optimistic Rollup과 ZK-Rollup은
이더리움 확장성을 책임지는 핵심 기술이지만
각자 다른 철학과 구조로 작동합니다.

  • Optimistic은 “문제 없다고 생각하고 먼저 진행”

  • ZK는 “증명된 것만 기록”
    이 차이를 기억하시면 두 기술이 더 쉽게 이해되실 거예요.